"스포츠 7330" 일주일에 3번! 하루 30분 운동!     "승리를 향한 열정의 샷!!"     부천시 테니스협회 http://www.lifetennis.org

이전달 2025년 04월 다음달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대회게시판
임원전용게시판
회장선거
현재 준비중인 대회가 없습니다.
 
작성일 : 04-09-07 16:15
포핸드 스트로크
 글쓴이 : 김우연
조회 : 11,774  
The “Advanced Foundation” #5. 포핸드 그라운드 스트로크. 
 “Advanced Foundation”

The Forehand Groundstroke within the Advanced Foundation
(What does and doesn't need to be taught!)

By David W. Smith (Excerpted from his book, Tennis Mastery, due out in early Fall, 2003)


“Advanced Foundation”의 한가지 분명한 특징은 강사가 모든 것을 지도하는 것인가, 아니면 제가 “player-self evolution”이라고 부르는, 강습생이 (더 효과적으로) 스스로 발전해 나가는 것인가를 명확히 규정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다시 말하자면, 어떤 기술을 정확하게 배웠다면, 그들은 그 기술 내에 어떤 다른 요소들을 특별히 배우지 않아도 그 기술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완성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일부 지도 방법에서 문제가 되는 것이 “transitional teaching”의 철학에 근거를 둔다는 점입니다. 이 개념은 분명히 강습생에게 초보적인 수준의 성취감을 얻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더 높은 수준의 경기를 위해서는 반드시 고쳐야 합니다. 이런 방식을 제시하는 많은 책들과 강사들도 “좀 더 발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스트로크의 기술과 그립을 바꿔야 한다고 언급합니다. 이런 방식은 인간의 본능적인 동작에 근거한 기본적인 친숙감이나 편안함 때문에 일시적인, 즉각적인 성취감을 줍니다. 그러나, 이런 일시적인 편안함은 더 높은 수준으로의 발전을 방해하게 되고, 그 결과 개개인의 능력을 제한하게 됩니다.

 

“Advanced Foundation”은 짐 쿠리어와 같이 스트로크의 중심요소들을 지키며, 개성적인 다양성을 개발하게 해줍니다.
 


당신이 테니스 서적, 비디오, 인터넷 사이트, 혹은 직접 강사에게 레슨을 받으며 테니스를 배울 수 있습니다만, 당신이 내가 제시하는 개념과, 당신을 원하는 수준까지 인도할 수 있는 기본기술을 배워야 한다는 점을 이해하는 것은 절대적인, 필수적인 사항입니다.

수년간 다양한 수준과 신체능력의 사람들에게 테니스를 가르친 결과, 저는 사람의 운동 습득 방식과, 어떤 지도철학이 대부분의 사람들을 장기적으로 지속적인 발전을 하게 해주는지 명확하게 알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인식 하에 저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는 지도 방법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1. 선수들에게 특별한, 혹은 꼭 필요한 변경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지속적으로 발전하게 하는 기술을 지도한다.
2. 선수들에게서, 그들에게 이롭게 작용하는 개성이, 기술 자체에 의해서가 아니라 선수 자신의 특성에 의해 발전하게 한다.
3. 성공적인 선수의 발전을 위해 더 특별한 방법의 지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 개념 하에 저는 “Advanced Foundation.”이라는 지도철학을 확립하게 되었습니다.

지난 글에서 저는 “Advanced Foundation.”에서의 발리와 서브에 대해 설명하였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포핸드 그라운드 스트로크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그러나, 이 스트로크의 요점들을 설명하기 전에, 저는 “Advanced Foundation”의 스트로크를 개발하고자 하는 동호인들이 반드시 알아야 하는 주제를 강조하고자 합니다. 이 주제는 어떤 스트로크 기술을 배워야만 하고 어떤 기술을 배우려고 노력할 필요가 없는가에 대한 것입니다. 


Self-working and Self-progressing Stroke Components

이 주제는 스트로크의 발전을 위해 어떤 요소를 반드시 배워야하고, 어떤 요소를 궂이 배우려고 노력할 필요가 없는 지에 대해 설명합니다. “Advanced Foundation” 에서의 기술 습득은 훨씬 더 많은 적절한 자기 스스로의 연습과 발전(proper self-working mechanics and progression)을 제공합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Advanced Foundation”으로 배우는 동호인들은 다음의 두가지를 자연적으로 경험하게 됩니다.

1. 선수가 이 기술들에게 좀 더 친숙해지고 자연스러워 질수록 각각의 스트로크의 좀 더 고급의 기술들이 자연적으로 개발되게 됩니다.
2. 특별히 가르치지 않아도 선수들은 각각의 스트로크의 스윙에서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스윙의 특정한 요소들을 자동적으로 통합하게 됩니다.

이 두가지 장점은 테니스를 배우기를 원하는 사람들에게는 무수히 많은 테니스 레슨들을 다 받을 필요가 없는 방법임을 의미하기 때문에 매우 매력적인 부분입니다. 테니슨는 복잡하고 어려운 운동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많은 동호인들이 스트로크를 배우고 연습할 때 너무 많은 것을 신경써야 한다고 불평합니다. 신경써야 할 것이 적을수록, 이들 요점들을 적절하게 수행하는 것은 더 쉬울 것입니다.

“Advanced Foundation”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스트로크의 적절한 기타 요소들이 자연적으로 익혀진다는 점에 대해 이해하게 해줍니다. (물론, 그들이 자연적인 발전에서 벗어나는, 혹은 스트로크에 해가 되는 나쁜 버릇이 생기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레슨이 필요합니다.)

The Forehand within the Advanced Foundation

테니스의 스트로크들 중에서도 포핸드는, 심지어는 프로선수들 사이에서도, 가장 심한 다양성을 가집니다. 이러한 다양성에는:
1. 오픈스텐스 대 클로즈드 스텐스
2. 그립의 다양성
3. 백스윙 패턴의 다양성
4. 샷 전과 샷 후의 풋웍의 다양성
등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다양성은 다양한 지도 방법을 낳게 되었고, 지도자들 사이에서는 “테니스 볼을 정확하게 치는 방법은 한가지만 있는 것이 아니다. (다양하다.)”라는 생각을 가지게 만들었습니다. 물론 이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이것이 모든 것을 허용한다는 뜻이 아님을 아셔야 합니다. 이 말은, 선수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결국 상급자가 될 수 있게 해주는 스트로크의 방법이 무한히 많은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오히려, 선수의 발전을 막고, 2류에 머물도록 만들어 주는 방법이 무한하게 많은 것입니다.

“Advanced Foundation”은 포핸드를 성공적으로 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다양하다는 것을 인정합니다. (마찬가지로, 부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기술들은 훨씬 더 많습니다.) 그래서, “Advanced Foundation”의 포핸드 기초는 선수가 그들의 포핸드를 개발하는 데 있어서 점진적인 발전의 측면에서 뿐 만 아니라, 나쁜 습관이나 부적절하다고 여겨지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막도록 디자인 되었습니다.


Forehand Foundation

Grip

“Advanced Foundation”에서 포핸드의 그립은 이스턴 포핸드 그립입니다. 이 그립은 많은 수의 최고급 선수들도 사용할 뿐만 아니라, 선수가 원하면 세미 웨스턴 혹은 풀웨스턴 그립으로도 자연스럽게 발전해 나갈 수 있습니다. 저는 이런 변화가 각각의 개성에 따라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것을 보아왔습니다.
1. 공격적인 베이스라인 플레이를 선호하는 선수들은 세미웨스턴 혹은 풀웨스턴 그립으로 발전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2. 서브엔 발리, 네트 플레이를 선호하는 선수들은 이스턴 포핸드 그립을 선호합니다.

이러한 경향은 일반론적인 것으로 선수 개개인에게 획일적으로 적용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이스턴 포핸드 그립은 그자체로 게임의 최고레벨까지 도달할 수 있고, 선수의 능력이 향상된다고 해서 반드시 변경할 필요는 없습니다. 즉, 위의 세가지 탑스핀 그립에서 최고의 탑플레이어들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다만, 세미 웨스턴, 혹은 웨스턴 그립으로 처음 테니스를 시작하게되면, 이들 그립은 거의 모든 초보자에겐 너무 낯설다는 문제가 있고, 그 결과 이러한 이질감을 극복하기 위해 전체 스트로크 패턴에 문제의 소지가 있는 기술을 익히게 됩니다.


Back swing

저는, 거의 예외없이. 스트레이트 백스윙 패턴으로 배운 선수들이 자신만의 백스윙 테크닉(loop, semi-loop)으로 발전해 나갈 수 있었음을 발견했습니다. 이러한 백스윙의 발전은 그들의 그립 스타일과 선호하는 스윙스타일에 따라 자연적으로 이루어집니다. 그리고, 또한, 처음부터 루프 백스윙으로 지도를 받은 경우 탑스핀 포핸드를 배우는 데 있어서 여러가지 어려움을 겪는 것을 보아 왔습니다.

 

“Advanced Foundation”은 지미 코너즈가 보여주는 것과 같은 스트레이트 백스윙을 추천합니다.
 



NOTE : 실제적인 라켓의 백스윙이 일어나기 전에, 제일 먼저  “Unit Turn.”을 하는 것을 배워야 합니다. 이 동작은 라켓을 팔 동작에 의해 뒤로 빼기 전에 어깨와 상체를 포핸드 스트로크의 방향으로 돌려주는 동작입니다.

“Unit Turn.”을 실행함으로써, 선수는 상체를 정확히 사용하는 적절한 스트로크 기술을 개발하게 됩니다. 선수가 “Unit Turn.”을 하지 않으면서 팔을 뒤로 빼는 것으로 백스윙이 시작된다면 몇가지 문제점들이 발생합니다.



상체의 unit tern을 관찰하세요: unit tern을 하는 동안 팔은 기본적으로 원래의 자리에서 움직이지 않습니다.(몸통만 옆으로 돌리는 것입니다)
 


백스윙의 타입은 자발적인 노력과 조절에 의해 스스로 개발됩니다. 루프 백스윙을 하는 선수들은 거의 모두 루푸 백스윙의 크기에 있어서 개개인의 개성에 따라 다양한 백스윙을 개발합니다. (프로선수들은 거의 모두 어느 정도의 루프 백스윙을 합니다만, 이 부분은 개성이 드러나는, 기술의 다양성 적인 부분이지, 모든 프로들에게서 동일하게 관찰되는 "core stroke pattern”은 아닙니다.) 그러나, 저는 초보자가 처음부터 루프 백스윙을 하도록 지도받으면, 많은 경우 그가, 탑스핀 포핸드에서 필요한, 라켓을 볼보다 낮게 가져가면서 상향스윙을 하는 감각을 기르지 못하는 것을 보아왔습니다.


Footwork and Stance Patterns

진부하게 들리실 지는 모르겠지만, 처음에 클로즈드 혹은 뉴트랄 스텐스로 포핸드를 배운 선수들은 특별히 따로 배우지 않아도 상황에 따라 오픈 스텐스 스트로크를 칠 수 있는 능력이 생깁니다. 그러나 처음부터 오픈스텐스로 배우는 경우 상체의 동작에 매우 나쁜 버릇이 생기는 경우를 많이 보아왔습니다.(상체가 너무 일찍 열리거나, 공을 그냥 때려버리거나, 공을 관통하지 못하고 라켓을 일찍 잡아 당기는 등등……)

 
 

프로 선수들은 오픈 스텐스와 (Henin) 클로즈드 스텐스를 (Clijsters) 모두 사용합니다. 그러나, 적절한 신체의 나선운동과, (proper body coil) unit turn, 밸런스와 전체적인 풋웍을 개발하는 면에서는 클로즈드 스텐스로 연습하는 것이 이들 주요한 스트로크의 요소들을 더 빠르게 터득하도록 해줍니다.

웨스턴 계열의 두터운 그립일수록 더 큰 상체의 회전과 오픈 스텐스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지만, 이런 스타일의 선수들도 연습방법으로 뉴트랄 스텐스나 클로즈드 스텐스를 사용하면서 큰 회전력(torque)과 각운동량(angular momentum)을 만들어내는 원리를 터득합니다.

풋웍에서 중요한 한가지 요점은 임팩트때의 over-rotation을 막는 것입니다.
오른손잡이의 경우, 임팩트때 그의 뒷다리(오른다리)가 휘둘려져서 돌아나오면(혹은 앞다리(왼발)이 들리게 되면) 라켓을 휘둘러서 탑스핀 드라이브를 치지 못하고 공을 앞으로 미는 것으로 그치는 경우가 있습니다.

상급자들의 경우 이 스텝을 –리커버리 스텝의 한 방법으로– 적절한 타이밍으로 사용하긴 합니다만, 초, 중급의 선수들은 이런 스텝을 사용하게 방치하면 나쁜 스트로크 기술과 밸런스의 붕궤를 초래하게 됩니다.

 

뒷발을 뒤에 머무르게 하고 앞발에 체중을 실음으로써 over-rotation을 막고 전체적인 밸런스를 개선시켜줍니다.
 


저는 뒷발이 계속 뒤에 남아있고, 앞발이 땅에 고정되어 있도록 훈련받은 선수들이 일반적으로 더 좋은 밸런스와 풋웍을 개발하는 것을 보아왔습니다. 나는 처음에 클로즈드 스텐스로 지도받은 선수들이 “break step” 이나 “reverse pivot” 등의 고난도의 풋웍을 개발하지 못하는 것은 본 적이 없습니다.

.
 구가는 wrap finish와  “reverse pivot” 풋웍을 보여줍니다. reverse pivot은 상대방의 깊은 샷에 대해 파워와 다음 동작으로의 빠른 복귀를 제공합니다.
 


Backswing tools

초보자나 중급자가 직면하는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가 상향 스윙(low-to-high swing)의 실제적인 감각을 익히는 것입니다. 저는 슬라이스 포핸드를 치지 못하는 사람은 본적이 없습니다. 이 스윙은 위에서 아래로의 스윙 패턴이고, 사람의 본능적인 동작에 더 가깝기 때문입니다. 또한 중력의 영향 때문에 스윙을 위에서 아래로 하는 것이 중력을 이기며 아래에서 위로 스윙을 하는 것 보다 더 편합니다.

적절한 상향스윙을 어려워 하는 동호인을 교정할 때, 저는 백스윙 때 그의 라켓 끝이 땅에 닿도록 주문을 하고 그가 상향 스윙을 이해하고 실행할 때 까지 반복합니다. 라켓이 땅에 닿도록 함으로써 그는 터득해야 할 육체적인 “Key Position Point” 를 익히게 됩니다.
흔히 상향스윙을 하기위해서 백스윙때 라켓을 아래로 내리라고 조언을 듣긴 하지만, 백스윙은 선수의 시야 밖에서 행해지므로 (당연히 선수는 공을 보고 있어야 합니다!) 그는 그의 백스윙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집중할 수 없습니다.

이 방법은 “교정 방법”의 한가지 예로 전체적인  “Advanced Foundation”의 스윙패턴을 개발하는데 꼭 필요한 방법은 아닙니다. 그러나, 적절한 상향스윙의 감각을 터득하지 못하면 어떤 적절한 탑스핀 스트로크 기술도 개발할 수 없습니다.


Follow-through

팔로스로우의 패턴은 그립과 특정한 샷의 목적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 말은, 느린 속도의 빨리 떨어지는, 강한 탑스핀이 걸린 구질의 샷을 쳤을때와 빠른 스피드의 플랫성의 샷을 쳤을 때 팔로스로우의 모양은 다르다는 것입니다.

팔로스로우에서 가장 큰 문제점중 한가지는 선수가 “wrap” 피니쉬를 할 때 너무 일찍“wrap”을 한다는 점입니다. “wrap” 피니쉬는 임팩트 후 라켓과 팔이 선수의 몸을 가로질러서 목 근처에서 끝나는 동작입니다. 선수는 반드시 공의 주행선을 따라서 공을 관통하듯이 충분히 앞쪽으로 스윙을 진행해서 샷의 방향성을 잃지 않아야 합니다. 그러나, 많은 지도자들이 이러한 직선적인 스윙만을 강조해서 선수들에게 회전 관성을 이용하지 못하고 단순히 공을 앞으로 미는 것 만으로 스윙을 완성하게 합니다. 선수가 타겟방향으로 밀어치면서 “wrap” 피니쉬로 마무리하는 것을 터득하게 되면 그는 정확하고 강력한 포핸드를 가지게 될 것입니다.

그림 8.
휴이트의 포핸드 드라이브 동작에서 “wrap” 피니쉬 동작으로 이행되기 전에 어떻게 앞쪽으로 공을 관통하듯이 스윙이 지속되는지를 관찰하세요. 공을 강하면서도 컨트롤을 잃지 않고 치기위해서는 매우 중요한 요점입니다.
 



Conclusion

투어급의 선수들이 다양한 개성의 폼으로 공을 칩니다만, 이들의 기본기술은 거의 동일합니다. 이들을 구분하는 특성들은 주로 스트로크의 준비단계에서 관찰됩니다: 포핸드와 백핸드의 백스윙, 서브의 백스윙 동작에서 프로선수들은 다양성과 개성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다양성은 많은 테니스 강사들로 하여금 공을 치는 방법은 여려가지가 있다는 믿음을 낳게 했습니다. 물론 그 믿음은 어떤 면에서는 맞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개성적인 면들을 따라하려 하거나 가르치려해서는 안됩니다.

제가 “Advanced Foundation”에서 제시한 바와 같은 스트로크의 기본골격을 완성한 선수는 그의 개성, 장점과 단점에 따라 부수적으로 이러한 개성적인 다양성이 자연스럽게 나타나게 됩니다. 루프 백스윙이나 오픈스텐스 등을 처음부터 무조건 그렇게 해야 한다고 강요하게 되면, 그 선수는 자신이 지닌 잠재능력을 최대한으로 개발해내지 못하게 됩니다.

제가 제시한 “Advanced Foundation”의 스트로크 패턴으로 연습하게 되면 대부분의 선수들에게서 보여지는 독특한 폼들이 실제적으로 전체 스트로크의 자신감과 효율에 이롭게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게 됩니다.

 
 

Total 1,112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112 소개합니다^^ 최자윤 02-20 15582
111 용궁반점 장난전화 박희용 02-16 25753
110 여자로서 샤라포바와 같은 멋진 실력을 갖고 싶습니다.ㅋㅋ 레슨… (2) 손인혜 02-13 10992
109 파워스클럽 홈페이지를 소개합니다. 안종명 02-03 15206
108 한라3차 테니스클럽 2005년도 임원진 소개합니다. 정명섭 01-14 11030
107 원미클럽 2005년도 임원현황 입니다. (2) 박동근 01-12 10123
106 감사 드립니다. 박동근 01-10 10241
105 약대테니스클럽2005년도 임원현황 입니다 (1) 서삼식 01-06 10565
104    약대테니스클럽2005년도 임원현황 입니다 박동근 01-06 10985
103 2005년 꿈마을 클럽 임원을 소개합니다... (1) 노희태 01-04 10408
102 조은 사람들 2005년도 임원진을 소개합니다. (2) 조명우 01-04 10902
101 "단배식에 동호인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박동근 01-03 10432
100 중흥테니스 클럽 05년도 임원진을 소개 합니다. 최규현 01-03 10446
99 새해에는 한상준 01-02 10085
98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요 박동근 01-01 10489
97 ㅎㅎㅎ샤라? 그거 무신 태풍이름이냐? 박희용 12-27 10991
96 오! 샤라... 그 이름 앞에... (2) 김선학 12-27 10979
95 중동주공클럽 임원을 소개합니다. (1) 신완일 12-27 10347
94 2005년도 파워스 임원진 소개 (2) 안종명 12-27 10999
93 복사골 클럽 2005년도 임원현황과 홈페이지 개설... (2) 김명철 12-20 14260
92    복사골 클럽 2005년도 임원현황과 홈페이지 개설... 박동근 01-01 10289
91 불우이웃돕기테니스대회 개최는 일정대로 진행한답니다. 안종명 12-05 10083
90 내일 테니스 대회가 가능한지요? 송종일 12-04 10057
89 복사 테니스장 라이트 보수 계획 사무국장 12-01 11156
88 12월 5일 대회가 가능한가요? 김선학 11-30 10487
87 제발 가르쳐 주세요 ㅎㅎ (1) 최대운 11-29 11452
86 시민과 가까운 코트를 생각하며 최주철 11-26 10466
85 코치 초빙합니다 정명섭 11-25 13476
84 다음 단체전을 위하여.... (2) 최신승 11-18 10860
83 이런대회가 동호인을 위한 테니스대회였는지요? (3) 한상준 11-16 10498
82 법박동 현대 홈타운 테니스회 회명칭 변경 신청....^^ 하용호 11-13 13715
81 단체전 순서 (1) 김정승 11-11 10450
80 연합회장배 연령별 순서를.... (1) 최신승 11-11 9707
79 한아름2차테니스회 김태연,김경연 사랑채 전국대회 3위입상 (2) 이장복 11-08 11711
78 50.40.30대 순서의 매치는 재고 사항입니다. (1) 최주철 11-06 9973
77 죄송한데요.... 부천에 온지 얼마안되서요 레슨받으려 하는데... (1) 메니아 11-05 11166
76 연합회장기 단체전의 모순점(퍼온글) 최신승 11-04 10081
75 역차별이라는 여론을 들으면서......... (2) 최주철 11-04 10035
74 정확한 요강을... 김선학 11-04 10063
73 모두 함께 하자는 생활체육의 취지에 대하여 최신승 11-02 9976
72 제1회 혼합복식대회 이모저모 운영자 11-02 9594
71 연합회장기 대회에 관한 불만입니다.. (1) 송종일 11-01 10026
70 [제3회]완도장보고배 전국클럽대항 테니스대회 오기명 10-29 10574
69 제8회 연합회장기 대회 선수 규정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1) 김영선 10-28 9785
68 아래 게시물에 대한 나의 생각 (1) 이승희 10-26 10107
67 엄정한 대회 규정을 적용하시길.... (3) 최신승 10-25 9174
66 연합회장기 팀 구성에 관하여 (1) 송종일 10-22 10507
65 부천시장배 대회에 관하여 송인수 10-19 10061
64 감사드립니다 박수영 10-14 10946
63 고수되기!!!!!!!!!!!!!!!!! 김우연 10-11 11208
62 포핸드에서의 팔꿈치의 위치는? 김우연 10-07 10506
61 꿈마을테니스 추가회원 (1) 노희태 09-30 9692
60 오늘 아침의 햇살도 여전히 밝고 아름답습니다. (1) 이은길 09-30 10443
59 부천시 시장배 대회 2부 우승의 주역들...최주철 류상화 최주철 09-25 19331
58 파트너쉽이란?(같은생각이어서 퍼왔습니다) 김우연 09-24 13685
57 아름다운사람들(총무) 이연국 09-23 10445
56 10월3일(부부대회 일정...올려주세요 이연국 09-22 11097
55 중동주공테니스가 강한이유? (2) 김우연 09-21 11593
54 시장기 대회를 마치면서.... 최규현 09-20 11646
53 부천 시장기를 마치고... (2) 신완일 09-20 12850
52 아침에 운동할수있는곳좀 가르쳐주세요..꼭!!!!!!!!!!!!!부탁드… (2) 방봉수 09-17 12488
51 오늘이라도........ 박수영 09-16 10593
50 아침에 운동 할수 있는곳 알려 주세요. (2) 방봉수 09-16 11160
49 출전 자격 안창수 09-15 11526
48 Help! 테니스를 하고싶은데, 새로 이사를 온 탓에--- (2) 백영실 09-14 9885
47 이런 질문드리기 곤란하지만;; (1) 이주희 09-07 10347
46 포핸드 스트로크 김우연 09-07 11775
45 원미두산 등록해 주세요. (1) 김선학 09-07 10683
44 포핸드 발리 김우연 09-03 13081
43 백핸드 발리 김우연 08-31 11117
42 서브,발리 김우연 08-25 13912
41 진보된 테니스이론 기초편1. (2) 김우연 08-24 19694
40 배울만한 테니스장 좀 알려주세요. (1) 이주희 08-23 11324
39 낙원클럽 소개 안종명 08-21 12449
38 파워스클럽 창단 1주년 기념하며. (1) 안종명 08-21 10660
37 강릉 임해배 ..... 신완일 08-16 11352
36    강릉 임해배 ..... 신완일 08-17 12345
35 스마트클럽 현황 조성익 08-06 11736
34 오픈 스탠스에 대한 최신이론 김우연 08-03 11540
33 한아름1차 테니스회 현황 김병전 07-10 12883
32 7월 월리그는요?????? 신완일 07-06 11736
31    7월 11일에 합니다. 운영자 07-06 10275
30 파워스 클럽 현황 (1) 안종명 07-05 11699
29 조은사람들클럽현황 서삼식 06-30 11660
28 중동주공클럽 현황 신완일 06-30 15805
27 약대주공테니스클럽현황 서삼식 06-30 13395
26 중흥클럽 현황 (1) 최규현 06-28 12979
25 원미클럽 현황 (1) 박재순 06-28 15607
24 집행부의 헌신적인 노력으로 깔끔한 대회 (1) 최주철 06-28 12574
23 정보 부탁 합니다 최규현 06-23 11864
22    정보 부탁 합니다 사무국장 06-23 13201
21 답답해서 한글2000 CD 빌려서 PC에 깔았습니다 최규현 06-22 12724
20    글쎄요... (1) 운영자 06-22 12852
19 이런 지도자가 되라.... 최규현 06-22 14914
18 수고 하셨습니다. 김중원 06-20 12240
17    수고 하셨습니다. 운영자 06-20 11759
16 [넉두리] 무지하게 짜증나네.. 운영자 06-18 12352
15 흔적 최주철 06-09 12845
14    깊은 관심에 감사하는 마음으로... 사무국장 06-24 15466
13 계속되는 선전???? 신완일 06-07 12896
   11  12  

14560 경기도 부천시 길주로 486 부천시테니스협회
사무국 : 032-662-4567 / 팩스 : 032-662-4565
COPYRIGHT(C)1998-2010 DSWEB ALL RIGHTS RESERVED.